돈을 끌어당기고 싶어서 확언도 하고, 감사일기도 쓰고, 유튜브도 찾아보며 열심히 실천하는데… 왜 내 통장은 그대로일까요?
사실 문제는 ‘방법’이 아니라 ‘정체성’일 수 있습니다.
20세기 강력한 현실 창조 철학을 전한 네빌 고다드(Neville Goddard)는 말했습니다:
“당신은 당신이 스스로 어떤 사람이라고 여기는 이상, 그 이상을 경험할 수 없다.”
쉽게 말하면, 내가 나를 ‘어떤 사람’으로 인식하느냐가 현실을 결정한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나에 대한 믿음(Self-Concept)이라는 개념입니다.
부자가 되고 싶다고 말하면서도, 마음 깊은 곳에서는…?
표면적으로는 “돈을 벌고 싶다”고 말하지만, 속마음에서는 이런 생각을 하고 있을 수도 있어요.
- “나는 돈에 운이 없어.”
- “부자가 되면 인간관계가 망가질 거야.”
- “내가 그런 큰돈을 감당할 수 있을까?”
이처럼 내가 어떤 사람이라고 믿고 있느냐가 돈과의 관계를 결정합니다. 그리고 이 믿음은 대부분 무의식 속에 자리잡고 있어서 쉽게 드러나지 않죠.
자기개념이 돈을 가로막는 방식
1. 돈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정체성
예상치 못한 수입이 생겼을 때, 스스로를 “이건 잠깐일 뿐”이라고 생각한다면, 곧 그 돈은 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2. 돈에 대한 죄책감
돈을 많이 갖는 것은 이기적인 일이라고 믿는다면, 실제로 돈이 들어올 기회가 와도 무의식적으로 거절하거나 피하게 됩니다.
3. ‘나는 원래 이런 사람이야’라는 믿음
“나는 항상 아슬아슬하게 사는 사람이야”라는 정체성은, 아무리 좋은 기회가 와도 그것을 유지하지 못하게 만들어요.
어떻게 자기개념을 바꿔야 할까?
네빌 고다드는 말합니다. “이미 원하는 삶을 살고 있는 사람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라.”
즉, 지금 통장에 얼마가 있든 상관없이, 이미 부자인 내가 어떤 감정과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먼저 상상하는 것입니다.
- “나는 풍요 속에서 안전함을 느껴.”
- “돈이 들어오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야.”
- “나는 가치를 주고받는 사람이다.”
이런 문장들을 억지로 외우는 게 아니라, 마치 익숙한 생각처럼 나에게 자연스럽게 들려주듯 반복하는 게 중요합니다
자기개념을 바꾸는 일상 실천법
✅ 자기 전과 아침에 확언하기
잠재의식이 가장 민감한 시간에 긍정적인 정체성을 심어줍니다.
✅ 가상의 나로 일기 쓰기
이미 돈이 넘치는 삶을 사는 내가 하루를 어떻게 살았는지 써보세요.
✅ ‘가난한 나’와 작별 인사하기
제한적인 믿음을 인식했을 때, “그건 예전의 나였어. 지금의 나는 풍요로움을 선택하고 있어.”처럼, 내가 원하는 방향에 에너지를 주는 문장을 반복해보세요.
변화 과정에서 감정이 올라올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나에 대한 믿음’을 바꾸는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부딪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부정적인 감정이 올라오는 것이에요.
예를 들어, “나는 돈을 받을 자격이 있어”라고 확언했을 때, 오히려 속에서 “아니야, 난 부족해”라는 반응이 올라올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우리는 흔히 두 가지 중 하나를 합니다:
- 그 감정을 억누르고 무시하거나
- 감정에 휩쓸려서 결국 확언을 멈추는 것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그 감정을 억누르지 않고 ‘알아차리는 것’입니다.
“아, 내가 지금 이런 생각을 하고 있구나.”
이렇게 자신을 판단 없이 바라보는 태도는, 오히려 잠재의식 속 낡은 믿음을 정화하는 기회가 됩니다.
그다음엔 의식적으로 내가 원하는 쪽으로 다시 집중하는 것이 중요해요. 억지로 긍정하려는 게 아니라, 의식의 중심을 새롭게 선택하는 것입니다.
“그래, 이런 의심도 올라올 수 있어. 그런데 나는 이제 다른 방향을 보기로 했어.”
이런 식으로 감정을 존중하면서도 방향성을 잃지 않는 태도가 ‘나에 대한 믿음’을 바꾸는 데 큰 힘이 됩니다.
그리고 저항이 올라온다는 건, 아직 내가 그 새로운 모습과 완전히 하나가 되지 않았다는 뜻이에요.
오히려 그런 감정이 올라오는 건, 내가 지금 변화의 길 위에 있다는 신호예요. 잘하고 있다는 뜻이죠.
돈을 바꾸고 싶다면, 돈을 대하는 나를 먼저 바꿔야 합니다.
외적인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어요. 돈을 벌 자격이 있는 사람, 돈과 친한 사람, 풍요 속에서 편안한 사람으로 자기 개념이 먼저 바뀔 때, 현실은 저절로 따라옵니다.
돈은 결국, 내가 누구라고 믿느냐에 따라 흘러옵니다.
'내면의 믿음과 현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가 되고 싶다면, 잠들기 전 10분이 기회입니다 – 네빌 고다드의 SATS 기법 (0) | 2025.04.13 |
---|---|
돈을 끌어당기는 건 ‘노력’이 아니라 ‘믿음’이다 – 네빌 고다드 (0) | 2025.04.09 |
현실을 바꾸는 힘, 내면의 대화에서 시작된다 – 네빌 고다드의 상상의 법칙 (0) | 2025.04.08 |